목록javascript (30)
carrots-day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TypeScript)는 자바스크립트의 슈퍼셋인 오픈소스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 유지하고 있으며 엄격한 문법을 지원한다. 요즘 구직시 Typescript 사용 경험을 필요로 하는 업체가 많아지고 있다. 뭔가 새로운 언어 같지만 확장자와 일부 문법의 차이를 제외하면 Javascript와 거의 유사하다. 한마디로 정의해보자면 Javascript에 type을 부여해 Java처럼 짤 수 있게 해주는 개발언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특징 이하 Javascript는 JS, Typescript는 TS로 칭한다. 다 쓸라니까 귀찮네 1. 컴파일 언어 (정적 타입 언어) JS는 동적 타입의 인터프리터 언어로 런타임에서 오류를 발견할 수 있다. 코드 작성 중 오류를 검출해..

React React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선언적이고 효율적이며 유연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컴포넌트”라고 불리는 작고 고립된 코드의 파편을 이용하여 복잡한 UI를 구성하도록 돕습니다. 프론트엔드 취업요건 1위, React다. React는 Facebook 재단에서 개발한 컴포넌트 선언형 라이브러리로 SPA나, 모바일 앱 개발에 사용된다. 이게 무슨 말이냐하면 반복되는 기능이나 콘텐츠들을 컴포넌트 단위로 분리해 레고를 조립하듯 맞는 부분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특성이 SPA 개발 형태를 지니게 해준다. React 특징 선언적 프로그래밍 구조 : 명령형과 다르게 최종목표에 대한 프로그래밍 구조를 띈다. 굉장히 가시적이고 결과론적인 개발 방식을 사용한다. Co..

ES6+ ES란 ECMAScript의 약자이며 자바스크립트의 표준, 스펙을 나타내는 용어다. ES6+는 2015년에 개정된 javascript 스펙 ES6를 포함한 상위 스펙을 통칭하는 말이다. ES5 기준으로 개발을 시작했던 나로써는 ES6를 기점으로 javascript의 코드가 굉장히 간결하고 명확해졌다고 생각한다. 개발 업계는 역시 게을러지면서 발전한다.. ES6부터 추가된 기능 ES6+의 추가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모든 기능을 전부 나열하기엔 양도 많고 범위도 정확하지 않아 내가 주로 사용하는 기능만 정리해본다. ES6에서 추가된 Promise와 classes는 다음 글에서 다루겠다. Variable (let, const) Arrow Functions (화살표 함수표현식) Template Lit..

변수 선언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가 그렇듯 어떤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앱을 구현한다. javascript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 중 var, let, const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본다. 기존의 javascript에서 변수 선언은 var로 할당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기존 var의 경우 스코프에 대한 기준, 중복 선언 등 문제가 많았다. 그러고 보면 지금까지 잘도 해먹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ES6가 업데이트되고 변수 선언방식 추가되었는데 그것이 let과 const이다. var와 let, const는 다음과 같은 차이를 갖는다. 1. 중복선언 여부 [ 가능 : var | 불가능 : let, const ] var의 경우 같은 변수 명으로 중복 선언이 가능하다. 이것부터가 얼마나 기준이 러프..

Scope 식별자(객체)의 유효 범위를 말한다. 객체가 어디에 선언되었는지에 따라 유효 범위가 결정된다. 쉽게 말하자면 변수를 선언할 때 어떤 곳에 선언했냐에 따라 이 변수의 사용 가능 범위가 정해진다는 말이다. 기본적으로 스코프는 2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전역 스코프 : 코드 전체에서 참조 가능한 범위를 가진 스코프 지역 스코프 : 특정 조건에 따라 참조 범위가 다른 스코프 전역 스코프의 경우 같은 코드에 존재하면 어디서든 참조가 가능한 스코프이다. 지역 스코프의 경우 경우에 따라 참조 범위가 달라진다. 범위 산정의 기준은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블록레벨 스코프 : 블록 ({}) 내에서만 참조 가능한 범위 함수레벨 스코프 : 함수 내에서만 참조 가능한 범위 동적 스코프 : 함수를 어디서 호출..

Javascript 웹 브라우저에서 구동되는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 javascript는 웹브라우저 엔진에서 구동되는 스크립트로 HTML과 CSS랑 같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node,js와 같은 자바스크림트 런타임을 활용하여 서버 프로그래밍도 가능하다. ECMAscript (ES) Ecma International이 ECMA-262 기술 규격에 따라 정의하고 있는 표준화된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 위키 백과에는 저렇게 설명되어 있지만 javascript는 언어고 ECMAscript는 javascript의 표준이나 스펙을 의미한다. 그냥 javascript의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Javascript 구동원리 구동원리, 스크립트 엔진 구조를 찾다보면 다음과 같은 그림을 많이 봤을 것..